본문 바로가기

모든 정보/생활 정보

주휴수당 지급기준

반응형

근로기준법 제 55조/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30조

 

1. 주휴수당은 언제 발생하나요?

1) 1주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(15시간을 채웠는지는 중요하지 않음)

2) 1주일 소정근로일을 개근(개인사정 등으로, 근로자 스스로 결근하지 않아야함)

3) 다음주에 출근

 

위 세가지를 지키면 발생합니다.

 

사례 1. 조퇴하는 경우

º 주5일 근로자입니다. 그런데 하루는 몸이 아파서 오전만 근무하고 조퇴를 했습니다.

º 나머지 4일은 모두 출근했습니다.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사례 2. 지각하는 경우

º 이번주 하루를 지각을 했습니다.

º 원래는 주 15시간 근로자인데, 지각 10분을 해서 15시간이 안 됩니다.

☞주휴수당 발생

 

사례 3. 빨간날 쉬었다면

º 이번주에 빨간날 한글날이 있어서 회사 전체가 쉬었습니다. 나머지는 모두 출근했습니다.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사례 4. 사장님이이 출근하지 말라고 했다면

º 사장님이 장사가 안되니, 내일은 출근하지 말라고 하였다.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사례 5. 연차 사용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사례 6. 사대보험미가입, 근로계약서 미작성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사례 7. 상시 5인 미만 사업장

☞주휴수당 발생 

 

 

사례 8. 정확하게 1주일만 근무하고 퇴사

☞주휴수당 미발생 

 

사례 9. 이번주는 연차휴가 5일을 가서 근무하는 날이 없습니다.

☞주휴수당 미발생 (주 5일 근무자인데 4일 연차를 쓰는 경우에는 주휴수당 발생)

 

사례 10. 주중에 입사하는 경우

☞주휴수당 미발생

 

사례 11.  주 40시간 주휴수당 금액은?

º 하루 8시간, 주 5일해서 주40시간을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☞(40/5)*시급

 

사례 12. 주 35시간 주휴수당 금액은?

º 하루 7시간, 주 5일해서 주35시간을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☞(35/5)*시급

 

사례 13. 주 4일근무, 주 23시간 주휴수당 금액은?

º 8시간, 3시간, 5시간, 7시간으로 주 4일, 주 23시간을 근무하는 경우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☞(23/5)*시급

 

사례 14. 주말 2일, 16시간 근무 주휴수당 금액은?

º 주말 2일만 근무합니다. 8시간씩 근무하는데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☞(16/5)*시급

 

사례 15. 주말 2일, 14시간 근무 주휴수당 금액은?

☞주휴수당 미발생

 

사례 16. 1주일에 하루만 일함

º 월요일 하루만 20시간을 근무합니다.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☞(20/5)*시급

 

사례 17. 주40시간 이상 근무

º 하루 8시간씩, 주 6일을 근무해서 주 48시간씩 근무할 경우 주휴수당은 얼마인가요?

(40/5)*시급

※ 주휴수당의 최대치는 8시간입니다.

 

18. 월급제는 주휴수당이 없나요?

º 월급제로 한달에 180만원을 받는데 주휴수당이 발생하나요?

☞ 월급제는 월급안에 이미 주휴수당을 포함하고 있기에 별도 지급하지 않습니다.

☞ 그러나,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이 최저시급으로 계산한 임금보다 적으면 제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니

    차액만큼 지급해야 합니다.

반응형